본문 바로가기

아람코(ARMCO)의 역사와 시가총액, 그리고 빈 살만

기업이야기 by ohmycelebrtiy 2023. 8. 14.

세계 시가총액 상위 기업들을 보면 애플, MS, 구글 등과 함께 늘 상위권에 있는 기업이 아람코입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국영 석유회사로 알고 있는 정도 외에는 잘 모르는 분들이 많습니다. 오늘은 사우디의 국영기업 아람코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saudi armco ci

 

아람코(ARMCO)의 역사 : 설립부터 국영화되기까지

 

아람코의 기업명은 사우디 아람코(saudi aramco)입니다. 아람코는 원래 사우디아라비아의 석유를 채굴하던 미국 기업으로 설립되었습니다. 1933년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석유 채굴 허가를 받은 미국 기업인 스탠다드오일 오브 캘리포니아의 자회사 형태로 설립되었습니다. 그 기업에는 당시 합병 전이었던 엑슨사와 모빌사를 비롯해 스탠다드오일 오브 캘리포니아, 텍사코 등 4개 회사가 지분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아람코는 사우디의 유전을 대규모로 개발해 단기간 내에 세계 최대 석유회사로 성장했습니다. 아람코가 이렇게 규모가 성장하면서 중동 내 미국의 입지가 점점 커지게 되었고, 석유가격을 좌우하는 주요 대형 석유회사들에 대한 반발로 주요 산유국들이 자원국유화 움직임을 보이게 되면서 사우디도 1960년대 들어오면서 국유화를 추진하게 됩니다.

 

1960년대 초부터 추진된 아람코의 국유화는 1972년 아람코의 지분을 가지고 있던 회사들과 OPEC이 협정을 체결하면서 급속히 진행되었습니다. 협정 체결과 함께 25%, 1974년에는 60%의 국유화를 단행했고, 1980년에 사우디 정보가 아람코 주식 100%를 취득하면서 완전한 국영기업으로 변신하게 되었습니다.

 

 

아람코(ARMCO)의 규모, 시가총액

 

아람코의 상장은 최근 방한하여 우리나라에도 잘 알려진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 주도로 추진되었습니다. 아람코의 기업가치를 2조달러(약 2,600조) 정도로 추정하고 있고, 기업공개(IPO) 추진 당시 5~10% 상당의 지분을 세계 주요 증권거래소에 동시에 상장을 추진했으나 회사 지배구조와 고평가 논란 등으로 인해 2019년말 자국인 사우디 타다울 증권시장에 전체 지분의 1.5%에 해당하는 주식을 공모해 상장했습니다. 최근 세계 다른 증시에 2차 상장을 추진한다는 소식들이 전해지고 있는데 유력한 곳은 영국 런던증시로 전체 지분의 약 2.5%인 500억달러어치의 주식 발행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아람코는 기업공개 이후 애플을 제치고 단숨에 세계 시가총액 1위 기업이 되어 전 세계를 놀라게 했습니다. 기업공개 당시 상장한 지분 1.5%만으로 세계 시가총액이 1위가 되었다는 오해가 생기는 등 많은 관심을 받았습니다. 이후 애플이 양호한 실적에 힘입어 시가총액 1위 기업이 되고 MS와 아마존 등에 밀리기도 했지만, 여전히 세계 시가총액 TOP5에 드는 초대기업임은 틀림이 없습니다.

 

아람코(ARMCO)를 이끄는 빈 살만, 그는 누구인가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는 아버지 살만 왕을 대신해 사실상 사우디를 통치하고 있습니다. 엄청난 재력 이외에도 과거 사우디와는 다른 다양한 변화를 이끌고 있어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습니다. 여성의 운전을 허용하고, 남녀가 함께 일하는 것을 허가하는가 하면 여성들도 축구 경기나 콘서트 관람도 가능하게 하는 등 보수적인 사우디의 문화를 개혁하고 있고, 외국 정상들과도 격의없이 만나 소통하고 있습니다. 물론, 자신의 개혁에 동참하지 않거나 자신의 자리를 위협하는 사람들을 제거하는 등 비난을 받기도 하는 등 평가는 엇갈리고 있는 점도 있습니다.

 

빈 살만은 석유에만 의존하는 사우디의 경제 구조를 바꾸기 위해 비전 2030 정책의 일환으로 우리나라에도 잘 알려진 ‘네옴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무려 500조원이 넘게 들어가는 사업인데 이를 위해서는 막대한 자금이 필요한데 이를 지원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아람코 상장을 추진했다고 합니다.

 

빈 살만의 추정 재산은 누구도 정확하게 알지는 못하지만 최대 2,600조원이 넘는다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사실이라면 공식적으로 세계 최대 부호를 다투는 일론 머스크나 제프 베이조스보다 10배가 넘는 재산을 가지고 보유하고 있는 것입니다.

 

참고로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는 1985년생입니다.

 

 

흥미로운 세계 유명 기업 알아보기

 

 

세계 최대 명품기업 루이비통모엣헤네시(LVMH)의 역사와 현재

많은 사람들, 특히 여성이라면 명품 하나쯤 가지고 있거나 가지고 싶어합니다. 명품 중에서도 대표적인 브랜드가 루이비통인데요. 이 루이비통 백을 생산하는 회사 이름은 LVMH입니다. 좀 생소한

ohmycelebrity.tistory.com

 

 

중국의 IT 공룡기업 텐센트(Tencent): 무한 확장의 끝은 어디일까?

국내 일반사람들에게 텐센트(Tencent)라는 기업은 생소한 기업이기도 하고 들어본 적이 있는 정도의 기업입니다. 국민게임이라고 불리는 LoL(Leage of Legends)를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고, 최근에 카카

ohmycelebrity.tistory.com

 

 

스타벅스(Starbucks)의 역사, 로고의 의미는?

우리나라 사람들은 유독 커피를 많이 마시고 좋아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대부분 하루에 2~3잔 이상은 마시는걸로 알려져있는데요. 요즘 다양한 브랜드와 저가 커피들이 많이 생겼지만, 아무래

ohmycelebrity.tistory.com